반응형
https://youtu.be/4vqbD1ZlxAU?si=Mpca7Waz1eYoHR7f
상완이두근 강화를 위한 필라테스는?
상완이두근은 보통 알통으로 알려져 있으며, 이두근이라는 이름처럼 두 갈래로 형성되어 있어요.
두 갈래의 길이에 따라 장두와 단두로 나뉘며, 각각 견갑골의 관절 결절과 협돌기에 기시하여 주관절 면에 정지하죠.
이 근육의 작용은 주관절과 상완골의 굴곡, 그리고 전완의 회외에요.
필라테스 동작으로는 필라테스 링을 활용하고, 덤벨이나 바벨을 이용한 컬 운동으로 이 근육을 강화할 수 있죠..

삼두근의 구조와 기능은 무엇인가요?
상완이두근의 길항근은 반대쪽 뒤에 위치한 상완삼두근이에요.
삼두근은 세 갈래로 형성되어 있으며, 각각의 기점은 장두가 견갑골의 관절 결절, 외측은 상완골 뒤면, 내측은 상완골 뒤면의 하부에 위치하죠.
정지점은 주골의 주두예요.
삼두근의 작용은 주 관절과 상완골의 신전이에요.
필라테스에서는 세라밴드로 삼두근을 강화할 수 있으며, 푸쉬업, 딥스, 케이블 등의 운동으로도 발달시킬 수 있죠..

상완이두근과 삼두근의 역할은 무엇인가?
상완이두근이 주동근일 때 삼두근은 길항근이에요.
반대로 삼두근이 주동근이 될 때는 상완이두근이 길항근이 되죠.
근육이 특정 동작에서 메인으로 사용되는 것에 따라 주동근과 길항근의 역할이 바뀌어요.
상완이두근과 삼두근의 관계는 자주 혼동될 수 있으므로, 근육의 역할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죠..

반응형
'필라테스 공부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필라테스 기능해부학ㅣ10. 전거근 Serratus anterior (0) | 2024.12.24 |
---|---|
필라테스 기능해부학ㅣ9. 요방형근 Quadratus Lumborum (0) | 2024.12.22 |
필라테스 기능해부학ㅣ7.대흉근, 소흉근 Pectoralis major & minor (1) | 2024.12.20 |
필라테스 기능해부학ㅣ6.대퇴사두근 Quadriceps femoris (0) | 2024.12.19 |
필라테스 기능해부학ㅣ5.슬괵근 Hamstring (0) | 2024.12.14 |
최근댓글